반응형

목차

세번째 파트 애자일 읽으며 인상적이었던 내용을 요약해보았다. 이전 편과는 달리 추가적인 감상을 덧붙이지 않는다.

👉 학습과 협력

애자일이 불확실성을 다루는 방식은 좀 더 짧은 주기로 더 일찍부터 피드백을 받고,
더 다양한 사람으로부터 저 자주 그리고 더 일찍 피드백을 받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여기까지가 협소한 의미의 애자일이었다면 이번에는 광의의 애자일을 이야기해보겠다.
애자일을 단순히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라는 울타리에 가두어 보지 않고, 일하는 한가지 스타일, 혹은 더 넘어서서 삶을 사는 방식으로까지 확장해 보는 것
사실 이제까지 이야기했던 학습과 협력이 애자일이 불확실성을 다루는 핵심적인 구동원리이다.

[학습]
불확실하다는 것은 우리가 이동할 때 목표점의 위치가 자주 바뀌거나 우리 위치가 자주 바뀌거나 하는 상황으로 비유해 볼 수 있다.
그럴 경우일수록 우리는 가다가 머춰 서서 주위를 둘러보고 목표점과 우리 위치를 확인하는 것 같은 피드백을 통해 방향을 재조정하는 일을 자주 해야한다.
초기 계획대로 가면 완전 동떨어진 곳으로 갈 수도 있다.
따시 말해 이동하면서 계속 배워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불확실성이 노을수록 학습을 잘해야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우리는 불확실성에 대해 더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협력]
애자일에서는 전체가 문제가 생길 확률은 굉장히 낮다.
모든 사람이 실수해야지만 구멍이 뚫리는 경우이다.
결과적으로 애자일은 서로의 업무를 공유하고 상호 검토하는 협력을 통해 불행한 일을 '또는' 조건에서 '그리고' 조건으로 바뀌게 한다.
모든 사람이 통찰을 얻어야 업무를 개선할 수 있는 게 아니라 한 사람이라도 통찰을 얻으면 그걸 공유해서 전체가 개선되는 것이다.

👉 고객에게 매일 가치를 전하라

[매일]
학습적 면에서 보면 '매일' 하는 것은 학습의 빈도를 말한다.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빈도가 자주 있어야한다.
그리고 좋은 학습은 질 높은 피드백에서 오게 된다.
진짜 가치를 전달할 때 우리는 진정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즉 '매일'에는 빈도와 동시에 이른 시점부터 시작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러면 학습의 복리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고객에게]
협려깅라는 면에서 '고객에게'라는 부분이 그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협력을 통해서 결과물이 나온다. 여기에서 고객은 넓은 의미로 이해관계자라고 생각하자.
우리에게 돈을 주고 일을 맡긴 사람뿐만 아니라 우리의 이해관계자는 모드 고객으로 여겨야한다.

[가치를 전하면]
'가치를 전하면' 협력이 쉽다. 우선 신뢰가 쌓이게 된다.
신뢰 자산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 신뢰가 있을 경우 협력의 비용이 낮아지고 원활해진다는 연구가 많다.
그리고 이는 앞의 학습과도 연결되는데 가치를 전달하게 되면 의사소통이 명확하고 구체적이 된다.

👉 애자일 실천법 중 성과에 도움을 준 것들

숫자가 높을 수록 요소와 프로젝트 성공도와의 상관성이 강하다
- 고객참여 (0.77)
- 리팩토링 (0.42)
- 코딩 후 자동화 테스트 붙이기 (0.38)
- 코드 공유 (0.37)

고객 참여는 고객을 설득해야 하고, 코드 공유는 개발자를 설득해야 한다.
초보팀들은 프로젝트가 접히기 직전까지 저항이 적은 일만 하면서 "오순도순 우리끼리 재밌게 하자"고 한다.
그러다가 우리들의 잔치로 끝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전문가팀은 무섭고 두렵더라도 중요한 일이라면 그 일을 안하는 리스크를 인지하고 꾸준히 시도한다는 점에서 초보팀과 다르다.
이 결과에서 저자가 얻은 교훈은 '두려워도 중요하다면 시도해봐야 하지 않겠는가.' 이다.

성숙도가 낮다면 고객 참여는 필수이다.
성숙도가 낮은 조직의 경우 유의미한 실천법은 '고객 참여' 딱 하나이다.
고객 참여를 잘하면 성숙도가 낮아도 프로젝트 성공도가 한 칸 올라간다는 뜻이다.

성숙도가 높은 조직은 짧은 반복 개발 주기가 1등이다.
그 말은 성숙도가 높은 조직에서는 고객 참여보다 짧은 반복 개발 주기가 성공에 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만큼 짧은 반복 개발 주기를 통해 고객 참여가 잘 안 될 떄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는 뜻일 수도 있다.
성숙도가 높은 조직에서 성공 기여도를 높이려면 짧은 반복 개발 주기, 고객 팜여, 코드 공유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성공도 회귀분석을 정리하자면 고객 참여와 짧은 개발 주기가 프로젝트 성공의 가장 핵심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두가지는 각기 '함께' 그리고 '자라기'와 연결 지을 수 있다.
애자일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 고객 참여와 짧은 개발 주기를 하면 함께 자라기가 되는 것이고,
이것이 불확실성하에서 우리가 더 현명해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고객 참여란 고객 혹은 고객을 대표하는 사람의 참여입니다.
진정 중요한 것은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하는 사람과 최대한 가까운 사람을 참여시키려고 우리가 계속 노력하는 것입니다.

👉 애자일 코치

내가 애자일 코치가 되어야지 결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누구나 뜅난 애자일 코치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결과적으로 보면 뛰어난 애자일 코치는 함께 자라기를 하는 사람입니다.

👉 애자일 도입

새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 어떤 방법론을 쓰느냐 보다도 누가 참여하는가가 훨씬 더 압도적으로 중요한 문제

애자일을 포함한 정말 다양한 방법론이 있음
하지만 그 노력에 비해 성공률은 그렇게 높은 것 같지 않음

우리가 배워야할 것은 칸반 이면의, 칸반이 나올 수 있었던 구조와 문화임
이것은 거의 모든 종류의 방법론 도입에 적용됨
왜냐하면 방법론 도입은 태생적으로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임
그럴 때 현명한 전략은 정해진 수순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곁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주변을 탐색하고 조금 나아가고 확인하고를 반복하면서 우리의 현 맥락에 맞는 좋은 전략들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아닐까함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함께 자라기가 귀중한 나침반이 되어 줄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