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base, Amplify 언제 써야할까?
반응형
요약 : 빠르고 저렴하게 프로토타입 제작할 때 쓴다.
기능
장점
- 인증 10분
- 백엔드 작업 없이 DB 저장
- 웬만한 모든 기능들을 쉽게 제작할 수 있음(인증, 업로드, Push, CRUD 등)
⇒ 아이디어를 빠른 시간 내에 제작해서 시도해볼 수 있음
단점
- GCP/AWS 플랫폼에 강한 종속 (섬세한 컨트롤 X, 추후 분리도 어려움)
- 각 플랫폼의 서버와 DB를 빌려쓰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소유하고 있지 않음
⇒ 실제 프로젝트에는 부적합
가격
Firebase : https://firebase.google.com/pricing
Amplify : https://aws.amazon.com/ko/amplify/pricing/
장점
- 초기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 인증(무료, 전화인증은 만 건까지 무료), Cloud Firestore 1GB, 호스팅 10GB 등
⇒ 초기에 들어가는 기본 서버 비용조차 필요하지 않음.
프로토타입용 서비스에 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몰려서 요금을 낸다면 그건 그것대로 감사한 일.
단점
- 무료 요금을 초과하면 저렴하지 않는 가격
반응형
이 글은
(새창열림)
본 저작자 표시 규칙 하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를 확인하세요.
Creative Commons
본 저작자 표시
'엔지니어링 >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기본 환경 설정 (1) | 2021.02.23 |
---|---|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SDK 추가 간단 가이드 (0) | 2020.12.24 |
리눅스 메모리 용량 확인과 로그파일 관리 (1) | 2020.10.28 |
네이버 클라우드 DB서버에 공인IP 없이 외부 원격 접속하기 (1) | 2020.08.14 |
AWS S3 버킷 생성 중 "버킷 이름이 이미 있습니다." (0) | 2020.07.31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Nginx 기본 환경 설정
Nginx 기본 환경 설정
2021.02.23 -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SDK 추가 간단 가이드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SDK 추가 간단 가이드
2020.12.24 -
리눅스 메모리 용량 확인과 로그파일 관리
리눅스 메모리 용량 확인과 로그파일 관리
2020.10.28 -
네이버 클라우드 DB서버에 공인IP 없이 외부 원격 접속하기
네이버 클라우드 DB서버에 공인IP 없이 외부 원격 접속하기
2020.08.14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